도쿄도 제12구

덤프버전 : (♥ 0)


도쿄도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도쿄도 제12구
東京都第12区
||
파일:shuinsen_Tokyo12.svg
선거인 수462,732명 (2021)
상위 도도부현도쿄도
하위 행정구역키타구, 이타바시구 북부 지역[이타바시구]
국회의원

오카모토 미쓰나리




1. 개요[편집]


도쿄도의 도쿄 23구 북부 지역 중 키타구를 중심으로한 아라카와강 생활권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원래는 키타구와 아다치구 일부로만 이루어진 선거구였으나,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 도시마구, 이타바시구, 아다치구 등의 일부 지역들이 속하게 되었다. 이후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 관할 구역이 재조정되어 키타구와 이타바시구 북부 지역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공명당 소속 오카모토 미쓰나리.


2. 상세[편집]


공명당 의원의 강력한 지역기반으로,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자민-공명 연립 여당이 우세한 곳이다. 원래 이곳은 여타 다른 선거구들과 같이 자민당이 차지하던 지역구인데, 자민당과 공명당이 연립 여당을 구성한 이후 자민당이 이 곳을 공명당에게 할당하면서 공명당이 차지하게 되었다. 그런데 원래는 그마저도 공명당에게 지역구를 완전히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선거 때마다 자민당과 공명당 소속 후보를 한 번씩 번갈아가면서 공천하기로 했었다.[1] 공명당에 할당하는 지역구도 얼마 없으면서 그마저도 다 주는게 아니라 번갈아가면서 차지하자는 건 자민당이 너무한 것 같다 허나 자민당이 공천할 차례였던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 자민당이 공천하려던 야시로 에이타 의원이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내세운 우정 민영화에 반대하자 자민당이 아예 공천하지 않고 그냥 공명당 후보를 다시 추천하면서 그 이후로도 공명당이 계속 차지하게 된 것이다(...). 뜻밖에 개이득(?)

여담으로 47회 총선 당시, 극우로 유명한 다모가미 도시오차세대당 소속으로 출마한 적이 있다. 결과는 당연히 낙선(4명 중 4위).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2구
키타구, 아다치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시로 에이타61,461표1위


28.41%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사와 타마키[2]60,289표2위


27.8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이다 코헤이45,858표3위


21.20%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와다 무네하루38,785표4위


17.93%낙선
야스다 고네5,501표5위

무소속

2.54%낙선
파일:신사회당로고.jpg도야마 에이코4,456표6위


2.06%낙선
유효표 수216,350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2구
키타구, 아다치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시로 에이타90,208표1위


40.7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타 유키히사64,913표2위


29.3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기시 미츠오45,482표3위


20.53%낙선
파일:덕주회.png쿠리모토 신이치로20,902표4위

자유연합

9.44%낙선
유효표 수221,505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2구
키타구, 아다치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오타 아키히로98,700표1위


44.0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타 유키히사95,110표2위


42.45%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기시 미츠오30,251표3위


13.50%낙선
유효표 수224,061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2구
키타구, 아다치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오타 아키히로109,636표1위


43.2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타 유키히사73,943표2위
29.12%낙선
야시로 에이타44,279표3위
17.4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노노야마 켄26,068표4위
10.27%낙선
유효표 수253,926표투표율
67.80%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2구
키타구, 아다치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아오키 아이118,753표1위
45.20%당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오타 아키히로108,679표2위
41.3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우치 사오리3,813표3위
11.98%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요쿠니 히데유키4,986표4위
1.45%낙선
유효표 수262,720표투표율
69.06%
선거인 수393,158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2구
키타구, 아다치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오타 아키히로114,052표1위
[3]51.43%당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아오키 아이56,432표2위
[4]25.45%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우치 사오리41,934표3위
18.91%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핫토리 세이미9,359표4위
4.22%낙선
유효표 수221,777표투표율
62.98%
선거인 수394,907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2구
키타구, 아다치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오타 아키히로88,499표1위
[5]41.64%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우치 사오리44,721표2위
21.04%비례당선
파일:생활의당 로고.png아오키 아이40,067표3위
18.85%낙선
파일:차세대당_투명.png다모가미 도시오39,233표4위
18.46%낙선
유효표 수212,520표투표율
56.04%
선거인 수398,205인

현역인 공명당의 오타 아키히로가 자민당의 추천을 받아 다시 출마했으며, 직전 선거에서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던 아오키 아이가 생활의 당 소속으로, 이 지역구에서 2연속 출마 및 낙선을 기록한 일본 공산당의 이케우치 사오리 후보 등도 그대로 재출마했다. 한편 그 와중에 첫 출마한 신인 후보가 있는데 바로 극우 성향으로 유명한 전직 군인 다모가미 도시오가 출마했다. 당적은 당연히(?) 정치 성향에 맞게 차세대당 소속으로 출마했다. 하지만 당락에 관계없이 이 지역구에 여러번 출마했던 나머지 3명의 후보와 달리 다모가미는 첫 출마인지라 당선 가능성이 그리 높아보이지는 않은 상황이었고, 예상대로 꼴찌로 낙선했다. 그런데 순위는 꼴찌지만 득표는 무려 18.5%, 약 4만표 정도를 득표했다. 이 인간을 찍어 준 사람이 무려 4만명 가까이 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마냥 웃을 수 없는 상황이다.

선거 결과는 지난번에 이어 공명당의 오타 아키히로가 당선되었다. 한편 2번 연속 낙선했던 공산당 이케우치 후보가 이번에는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면서 처음으로 원내 진출에 성공했다. 반면 직전 선거에서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던 아오키 아이는 3위로 낙선했다. 이후 아오키는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출마해 참의원으로 당선된다.

당선 확정 후 연설하는 오타 아키히로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2구
도시마구 일부, 키타구, 이타바시구 일부, 아다치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오타 아키히로112,597표1위
[6]51.64%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우치 사오리83,544표2위
[7]38.32%낙선
ゼロ나카무라 마사루21,892표3위
10.04%낙선
유효표 수218,033표투표율
52.47%
선거인 수460,263인

선거 당시 도쿄 12구 관련 뉴스 영상

현역인 공명당 오타 아키히로가 이번에도 자민당 추천을 받아 출마했다. 야권에선 직전 선거에서 2위를 기록해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던 일본 공산당 이케우치 사오리 의원이 출마했는데, 입헌민주당 등 야당들이 별도의 후보를 내지 않고 이케우치 의원을 추천하면서 이케우치 의원이 호헌파 야권의 단일 후보가 되었다.

선거 결과 공명당의 오타 아키히로 후보가 여유있게 당선되었다. 이케우치 의원은 직전 선거보다도 격차를 줄였음에도 이번엔 석패율 구제를 못 받고 낙선했다. 득표율로 보면 오타 의원이 51.6%로 절반을 겨우 넘긴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군소 후보 한 명이 무려 10%나 득표하면서 뜻 밖의 야권 표 분산이 생긴 것이 패배의 원인으로 작용한 듯하다.

참고로 10%나 득표한 군소 후보는 소속 정당명이 ‘의원 보수 제로를 실현하는 모임’이다. 국회의원 무보수 공약으로 10%나 얻은 것을 보면 어느 나라든 다들 국회의원 월급으로 사용되는 세금이 아깝다고 생각하는 듯 하다.

공명당과 공산당 모두 일본 사회에 일정부분의 비토층이 있기에, 무효표가 투표수의 10% 가까이 나왔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2구
도시마구 일부, 키타구, 이타바시구 일부, 아다치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오카모토 미쓰나리101,020표1위
[8]39.88%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아베 쓰카사80,323표2위
31.71%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우치 사오리71,948표3위
[9]28.41%낙선
유효표 수253,291표투표율
57.45%
선거인 수462,732인

49회 중원선 도쿄도 제12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격차투표율
후보오카모토 미쓰나리아베 쓰카사이케우치 사오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1,020
(39.88%)
80,323
(31.71%)
71,948
(28.41%)
+ 20,697
(△8.17)
462,732
(57.45%)
기타구38.71%32.08%29.21%△6.6359.46
이타바시구[10]45.49%29.30%25.21%△16.1953.94
도시마구[11]35.47%36.03%28.50%0.5657.74
아다치구[12]47.70%26.62%25.68%21.0851.05

해당 선거구의 출구조사 영상.

48회 총선거를 끝으로 오타 아키히로 의원이 차기 선거 불출마 및 정계 은퇴를 표명해 공명당에서 새로운 후보가 나오게 되었다. 공명당은 현역 기타칸토 블록 비례대표 중의원인 오카모토 미쓰나리를 후임자로 공천했다.

지난 총선과 마찬가지로 입헌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는 가운데, 공산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이케우치 사오리 전 의원을 다시 공천했다. 일본 유신회는 아베 츠카사 후보를 공천했다.

유신회가 끼어들어 삼파전 형세가 된 가운데, 공명당과 공산당이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 여론조사에서도 매우 치열한 경합 지역으로 나왔다. 보수 성향 신문 등에서는 공명당 경합우세, 진보 성향 신문 등에서는 공산당 경합우세로 나와 매우 치열한 경합지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공산당이 승리한다면 소선거구제 시행 이래 최초로 도쿄에 공산당이 깃발을 꽂게 된다. 근소한 차이로 낙선한다 하더라도 비례대표로 부활할 수 있는데, 공산당 후보가 도쿄에서 비례부활로 당선되는 것 역시 마찬가지로 상당히 역사적인 일이다.

투표일 저녁 8시 발표된 NHK 출구조사에서 유신회의 아베 츠카사 후보가 1위로 나오며 이변을 예고했고, 호헌파 야권의 기대를 모았던 이케우치 사오리 후보의 석패율제 구제가 미지수에 빠졌다. 유신회의 아베 후보가 자민당 지지층과 무당층의 지지를 고루고루 이끌어낸 반면, 공산당의 이케우치 후보는 아베의 돌풍에 휘말려 무당층의 지지를 충분히 받지 못했기 때문.(NHK 분석으로는 부동층에서 유신회와 양분된 상태이다.) 하지만, 공명당의 오카모토 미쓰나리 후보가 선거구에서 승리할것이라고 예측한 타 방송사의 출구조사도 발표되었다. 대표적으로 니혼 테레비에서는 공명당 34.1%, 유신회 33.7%, 공산당 32.2%로 1~3위 후보간 격차가 1.9%p에 불과한 초박빙의 양상을 보였다.

개표 결과, NHK의 출구조사를 뒤집고 공명당 오카모토 미쓰나리 후보가 승리했다. 2위 아베 쓰카사 후보는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생환했으며, 3위 이케우치 사오리 후보는 비례대표로 부활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의 선거구가 5석이나 증가함에 따라 선거구가 조정되면서 도시마구 부분은 10구로 넘겨 분할을 해소시켰으며, 아다치구 부분도 29구로 넘기고 대신 11구로부터 이타바시구 북동부 지역을 추가로 넘겨받았다.

공명당 현직인 오카모토 미쓰나리 의원은 이 선거구가 아닌 도쿄도 제29구 지부장으로 선임되면서 선거 구도가 개편될 전망이다.

유신회 현직인 아베 츠카사 후보는 이 지역의 지부장을 맡았으며, 자민당 역시 도쿄도 비례대표 의원인 다카키 게이 의원이 이 지역구에서 도의원을 지낸 만큼 출마가 유력할것으로 보인다.

국민민주당에서는 오쿠마 토시아키 전 중의원 의원이 지부장으로 선임되었으며, 자민당 역시 다카키 의원을 지부장으로 선임하였다.

[이타바시구] 사카시타, 히가시사카시타2초메, 하스네, 아이오이쵸, 타카시마다이라, 신가시, 후나도[1] 특정 정당에서 1개의 선거구를 두고 2명의 의원을 선거구와 비례대표 후보로 선거 때마다 번갈아가며 공천하는 이러한 방식을 ‘코스타리카 방식’이라고 한다. 즉 자민당은 선거 때마다 도쿄 12구에 자민당 후보와 공명당 후보를 번갈아가면서 공천하려고 한 것이다.[2] 배우 출신 정치인, 2003년 허혈성심부전으로 별세했다. 이외에도 다소 의외의 곳에서 이름을 찾아볼수 있는데, 다름아닌 에어모토씨/등장인물 항목에서 이 분의 모습을 확인할수있다(...)[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 , , , 추천[8] 추천[9] , 도쿄도 연합 추천[10] 이타바시구(12구) 신가시 1~2초메, 후나도 지역.[11] 도시마구(12구) 니시스가모 1초메, 키타오쓰카 3초메, 카미이케부쿠로, 동부구민사무소 관내(미나미오쓰카 3초메, 히가시이케부쿠로 5초메를 제외한 전역).[12] 아다치구(12구) 이리야, 오우기 2초메, 오다이, 카가, 코호쿠, 사라누마, 시카하마, 신덴, 츠바키, 토네리, 토네리코엔, 토네리마치, 호리노우치, 미야기, 야자이케 2~3초메.